박열
감독: 이준익
출연: 이제훈, 최희서, 김인우
장르: 드라마, 모험, 멜로/로맨스
러닝타임: 129분
개봉: 2017.06.28
줄거리
"조선인에게는 영웅, 우리한텐 원수로 적당한 놈을 찾아."
1923년, 일본의 관동대지진 이후 퍼진 괴소문으로 일본에서는 6천여 명의 무고한 조선인이 학살됩니다.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관심을 돌릴 화젯거리가 필요했던 일본 내각은 '불령사'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하던 조선 청년 '박열'을 대역 사건의 배후로 지목하게 됩니다.
"그들이 원하는 영웅이 돼줘야지"
일본의 계략을 눈치챈 '박열'은 동지이자 연인인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일부러 일본 황태자 폭탄 암살 계획을 자백하게되고, 사형까지 무릅쓴 역사적인 재판을 시작하게 됩니다.
조선인 최초의 대역죄인! 말 안 듣는 조선인 중 가장 말 안 듣는 조선인! 역사상 가장 버릇없는 피고인! 일본 열도를 발칵 뒤집은 사상 초유의 스캔들! 그 중심에 '박열'이 있었습니다.
관동대지진의 비극이 낳은 또 다른 비극,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사건
영화 [박열]을 살펴보기 전에 영화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일제강점기, 그것도 사건의 발단이 되는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대학살 사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23년 9월 1일, 도쿄를 중심으로 한 관동 지역 이래에 진도 7.9급의 초강력 지진이 발생하게 됩니다. 점심 식사 준비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가정에서 불을 때고 있던 시간대였기 때문에 지진의 여파는 곧바로 대화재로 이어졌습니다. 도쿄, 요코하마 지역을 비롯한 관동 지역 일대가 궤멸되다시피 한 피해가 발행하게 됩니다. 사망자, 행방 불명자가 약 14만 명, 이재민이 340만 명에 달하는 대 재난이었습니다. 재난의 혼란 속에 계엄령이 시행되었고 유언비어가 난무하는 이상한 기류가 연출되기 시작합니다. 유언비어 속에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킨다, 조선인이 방화했다, 우물에 조선인이 독약을 넣었다 등 근거도 없는 낭설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합니다. 일본의 자경단과 경찰관이 이를 조직적으로 유포시키고 이들에 의해 조선인과 조선인으로 의심 받았던 중국인들 그리고 일본인까지도 학살 당하는 비극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 일본인에 의해 살해당한 조선인은 약 2,500명이 달하며, 다른 문헌에 따라서는 6,000명에서 많게는 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 학살 사건은 아직까지도 진상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사실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일본 제국주의의 심장부에서 벌어진 역사적 실화!
영화 [박열]은 1923년 당시 일제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목숨을 걸로 투쟁했던 조선의 무정부주의자 박열과 그의 동지이자 연인인 가네코 후미코의 실화를 그린 작품입니다. 관동 대지진 당시, 일본 내각은 민란의 조심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조선인들이 우물에 독을 타고 폭동을 일으킨다"는 유언비어를 조직적으로 퍼뜨리고 이를 문제 삼아 계엄령을 선포하게 됩니다. 이를 계기로 수많은 무고한 조선인이 학상 당하는 관동대학살이 벌어지게 됩니다. 국제사회의 비난이 두려웠던 일본은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이를 뒤집어 씌울 적합한 인물로 불령사를 만들어 활동했던 대표적 불령선인 박열을 지목하게 됩니다.
영화 [박열]의 진짜 이야기는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일본 내각의 계략을 눈치챈 박열은 그들의 만행에 국제사회의 시선이 집중될 수 있도로고 스스로 황태자 암살 계획을 꾸몄다 자백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사형까지 무릅쓴 공판을 시작하게 됩니다.
박열의 환생인가? 데뷔 이래 가장 강렬한 변신, 배우 이제훈의 박열
영화 [박열]에서 배우 이제훈은 지독한 독립운동가 박열을 지독하리만큼 사실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당시 발행된 신문과 항일 운동 조직의 단체 사진 등을 활용하여 철저한 고증을 거쳐 조선 최고의 불량 청년 박열의 모습을 완벽하게 재연해냈습니다. 배우 이제훈은 실제로 감옥에서 단식 투쟁을 벌였던 박열의 모습을 사실감 있게 보여주기 위해 촬영 내내 금식을 하는 등 박열 그 자체에 다가가기 위해 노력했다고 전했습니다. 일본 경찰에게 고문을 당하는 장면에서도 가짜처럼 보이면 안 된다는 신념으로 실제로 곤봉 맞기를 자처했고 촬영이 끝난 후 실신 상태에 이를 정도로 열정을 보였다고 합니다. 주연 배우 이제훈의 열연으로 살아 생전 박열의 모든 것을 보여 준 영화 [박열] 추천드립니다.
댓글